2024년 12월 9일(월)
통계청(INE)에 따르면 2024년 11월 물가상승률은 1.66%로 나타났습니다. 이는 전월 1.16% 대비 0.50포인트 증가한 수치로, 전반적인 가격 상승 속도가 가속화되었음을 보여준다. 특히 주거비용과 기타 생활필수품이 이번 상승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.
소비자 물가지수는 경제 전반의 가격 상승 추세를 측정하는 주요 지표로, INE는 이번 상승폭이 2023년 11월(4.30%)보다 2.64포인트 감소했다고 설명했다. 또한, 2024년 11월 누적 변동률은 1.54%로, 2023년 11월의 4.06%와 비교했을 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.
2012년 11월부터 2024년 11월까지의 자료를 보면, 물가상승률이 가장 낮았던 시점은 지난 11월(1.54%)로 가장 높았던 시점은 2022년 11월(8.98%) 이었다.
소비자 물가지수를 구성하는 13개 지출 분야 중 식료품이 -0.12%로 가장 큰 월별 하락률을 보인 반면, 주거비용과 기타 생활필수품은 각각 0.02%로 가장 큰 월별 상승률을 기록했다.
가격 상승이 두드러진 주요 품목
가격 하락이 두드러진 주요 품목
INE는 도시 지역 기초생활비(CBAU)는 1인당 월 892.69께짤, 농촌 지역 기초생활비(CBAR): 1인당 월 690.42께짤로 조사 되었으며, 도시 지역 기본생활비(CAU)는 1인당 월 2,161.20께짤 및 농촌 지역 기본생활비(CAR)는 1인당 월 1,358.75께짤로 나타났다.
CBAU는 66개 품목, CBAR은 60개 품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4.16인 가구(도시) 및 4.80인 가구(농촌)가 필요로 하는 일일 칼로리(도시 2,052kcal, 농촌 2,172kcal)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.
Soy502